티스토리 뷰

반응형

포커를 배우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가장 기초적인 것은 무엇일까. 포커에는 매우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지만 그 모든 포커들을 포커라고 부를 수 있게 만드는 것은 바로 포커의 족보이다. 포커는 변형된 규칙을 제외하면 모든 포커의 종류가 하나의 족보를 공유한다. 때문에 포커의 족보를 모르게 되면 포커를 플레이할 수 없다. 오늘은 포커를 하기 위해 알아두어야 하는 포커의 족보를 자세히 알아보겠다.

포커를 하기 위해 알아두어야 할 것! 포커의 족보

포커에서 족보는 핸드 랭킹(Hand ranking)이라고 불린다. 족보는 카드의 조합에 따라 순위가 정해져 있는 기준이며, 이 순위는 조합이 완성될 확률이 낮을 수록 좋은 핸드 랭킹이라고 할 수 있다. 포커의 족보를 알기 전에 기본적인 전제 하나를 알아두어야 하는데, 바로 카드의 문양(Suit)에는 서열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클럽이나 스페이드나 다이아몬드나 하트나 어느 것이 더 높은 것이 아니라 그저 문양일뿐이라는 것이다.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아래 이미지를 보며 카드 족보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포커 족보 만드는 법

포커에서 족보를 만드는 방법은 무엇일까. 포커의 족보에는 총 10가지 종류의 서열이 존재한다. 이 10가지 서열은 각 족보의 등장확률이 기반하여 만들어 졌는데, 가장 높은 확률로 등장할수록 낮은 서열이며, 가장 낮은 확률로 등장할수록 높은 서열의 족보이다. 이 카드리의 족보는 변형된 규칙이 아닌 한 보통 5장의 카드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만약 텍사스 홀덤을 하게 된다면, 내가 가진 2장의 카드와 다른 플레이어와 공유하는 5장의 카드, 총 7장의 카도 중 5장 만을 사용하여 족보를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하지 않는 2장은 자신의 족보에는 포함이 되지 않으며, 다른 플레이어는 사용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거의 모든 포커는 5장의 카드로 족보를 완성시키게 된다. 

1. 카드 숫자 서열과 하이카드(High card)

포커 족보의 가장 기본은 카드 숫자와 문자들 간의 서열이다. 가장 낮은 카드는. 2카드이고 가장 높은 카드는 A카드이다. 이것을 정리하면 2, 3, 4, 5, 6, 7, 8, 9, 10, J, Q, K, A의 순서로 2로 갈수록 낮은 서열의 카드이고, A로 갈수록 높은 서열의 카드이다. 이런 카드 숫자의 서열은 포커에서 가장 낮은 서열의 족보인 No pair가 되며 이를 하이카드라고 부른다. 하이카드는 족보를 만들 수 있는 카드 5장의 조합이 하나도 맞지 않았을 경우이다. 즉, 카드가 하나도 겹치는 것이 없고, 이어지지도 않고, 문양끼리도 안 맞는 것이다. 이렇게 될 경우에는 자신이 가진 가장 높은 숫자의 카드의 순서대로 서열이 생기게 된다. 하이카드의 등장 확률은 대략 50%이다.

 

2. 원페어(One pair)

원페어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에서 2장의 카드가 같은 숫자일 경우 발생하는 족보이다. 원페어는 포커 족보에서 두번째에 해당하는 서열의 족보이다. 만약 내가 가진 카드가 5, 5, A, 7, 9라고 가정한다면, 나의 카드 족보는 '5 원페어 A하이'가 된다. 이 경우 만약 상대방도 원페어라면 원페어의. 조합을 만들어낸 카드의 숫자 서열끼리 비교하여 승부를 내게 된다. 예를 들어 6 원페어와 9 원페어는 둘 다 원페어라는 족보 서열을 가졌지만, 9 원페어가 6 원페어보다 숫자가 크기 때문에 9 원페어가 승리를 하게 된다. 원페어의 등장 확률은 대략 42%이다.

 

 

3. 투페어(Two pair)

투페어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에서 2장의 카드와 또다른 2장의 카드가 같은 숫자일 경우 발생하는 족보이다. 포커 족보에서 3번째에 해당하는 서열의 족보이다. 만약 내가 가진 카드가 5, 5, 6, 6, A라고 가정한다면, 나의 카드 족보는 6-5 투페어가 된다. 이 경우 만약 상대방도 투페 어라면 투페어의 조합을 만들어낸 카드의 숫자 중 높은 숫자끼리 서열을 비교하여 승부를 내게 된다. 예를 들어 6-5 투페어와 7-5 투페어가 승부를 한다면, 6-5 투페어에서는 6 페어가 사용되고, 7-5 투페에서는 7 페어가 사용되어 7이 더 높은 숫자이기 때문에 7-5 투페어가 이기게 된다. 그런데 만약 7-5 투페어와 7-4 투페어가 붙는다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에는 7 페어는 같은 숫자서열이기 때문에 넘어가고 두 번째 페어인 5 페어와 4 페어가 맞붙게 되어 5가 더 높은 숫자 서열을 갖기 때문에 7-5 투페어가 이기게 된다. 투페어의 등장 확률은 대략 5%이다. 

 

4. 쓰리 오브 어 카인드(Three of a kind)

쓰리 오브 어 카인드는 줄여서 트립스(Trips) 혹은 트리플(Triple)이라고도 불린다. 트립스는 포커 족보에서 4번째에 해당하는 서열의 족보이다. 트립스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에서 3장의 카드가 같은 숫자일 경우 발생한다. 만약 내가 가진 카드가 5, 5, 5, J, A라면 5트립스가 된다. 이 경우 만약 상대방도 트립스라면 트립스를 만들어낸 숫자의 서열을 비교하여 승부를 내게 된다. 예를 들어 5 트립스와 7 트립스가 승부를 한다면, 5보다 7이 높은 서열의 숫자이기 때문에 7 트립스가 승리하게 된다. 트립스의 등장 확률은 대략 2%이다.

 

5. 스트레이트(Straight)

스트레이트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의 숫자가 이어져 있을 경우 발생한다. 스트레이트는 포커 족보에서 5번째에 해당하는 서열의 족보이다. 만약 내가 가진 카드가 2, 3, 4, 5, 6이라면 6스트레이트가 된다. 이 경우 만약 상대방도 스트레이트라면 스트레이트를 만든 가장 높은 숫자의 카드로 승부를 가리게 된다. 예를 들어 6이 가장 높은 숫자인 스트레이트(2, 3, 4, 5, 6)와 8이 가장 높은 숫자인 스트레이트(4, 5, 6, 7, 8)가 승부를 할 경우 8 스트레이트가 승리하게 된다. A카드는 가장 높은 스트레이트와 가장 낮은 스트레이트에서 동시에 사용이 되는데, 10, J, Q, K, A일 경우 A스트레이트로 가장 높은 스트레이트가 된다. 그런데 A, 2, 3, 4, 5의 스트레이트일 경우 A는 숫자 1로 간주되어 5 스트레이트로 가장 낮은 스트레이트가 된다. 스트레이트의 등장 확률은 대략 0.4%이다.

 

 

6. 플러쉬(Flush)

플러쉬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의 문양이 모두 같을 경우 발생한다. 플러수는 포커 족보에서 6번째에 해당하는 서열의 족보이다. 만약 내가 가진 카드 5장이 모두 하트이고 그중에서 가장 높은 숫자가 J일 경우 J플러쉬가 된다. 만약 상대방도 플러쉬라면 플러쉬에 해당하는 카드의 숫자 중 가장 높은 숫자의 카드로 승부를 내게 된다. 예를들어 J플러쉬와 10 플러쉬가 승부를 낸다면, J이 10보다 높은 서열의 카드이기 때문에 J플러쉬가 승리하게 된다. 플러쉬의 등장 확률은 대략 0.2%이다.

 

7. 풀하우스(Full house)

풀하우스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에서 3장의 트립스와 2장의 원페어가 합쳐진 조합의 족보이다. 포커 족보에서 7번째에 해당하는 서열의 족보이다. 만약 내가 가진 카드가 7, 7, 7, J, J이라면 7풀하우스가 된다. 트립스를 기준으로 풀하우스를 명칭 하게 된다. 만약 같은 풀하우스끼리 승부를 낼 경우 먼저 트립스를 기준으로 비교를 하여 승부를 내고, 만약 트립스마저 같다면 페어를 기준으로 승부를 내게 된다. 예를 들어 7 풀하우스와 8 풀하우스가 승부를 낸다면, 8이 7보다 높은 서열의 숫자 카드기 때문에 8 풀하우스가 승리하게 된다. 그런데 8 풀하우스와 8 풀하우스가 붙는다면 페어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8, 8, 8, 5, 5의 8 풀하우스와 8, 8, 8, J, J의 풀하우스라면, 5 페어보다 J페어가 높기 때문에 J을 가진 8 풀하우스가 승리하게 된다. 풀하우스의 등장 확률은 대략 0.1%이다.

 

8. 포 오브 어 카인드(Four of a kind)

포 오브 어 카인드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에서 4장의 카드의 숫자가 동일할 경우 발생한다. 포 오브 어 카인드는 줄여서 쿼드(Quad) 혹은 우리가 흔히 아는 포카드(Four card)라고 불린다. 포커 족보에서 8번째에 해당하는 서열의 족보이다. 만약 내가 가진 카드가 7, 7, 7, 7, A라면 7쿼드가 된다. 만약 같은 쿼드끼리 승부를 낸다면 더 높은 숫자를 가진 쿼드가 이기게 된다. 예를 들어 7 쿼드와 9 쿼드가 승부를 낸다면 9가 7보다 더 높은 서열의 숫자 카드이기 때문에 9 쿼드가 승리하게 된다. 쿼드의 등장 확률은 0.02%이다.

 

9. 스트레이트 플러쉬(Staight Flush)

스트레이트 플러쉬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의 숫자가 이어져 있고, 거기에 더해 문양마저 같다면 발생한다. 스트레이트 플러쉬는 포커 족보에서 9번째에 해당하는 서열의 족보이다. 만약 내가 가진 카드가 3, 4, 5, 6, 7로 이어져 있고, 모두 하트라면 7스트레이트 플러쉬가 된다. 만약 상대방도 같은 스트레이트 플러쉬라면 가장 높은 숫자를 가진 스트레이트 플러쉬가 승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나의 카드가 3, 4, 5, 6, 7이고 모두 하트라면 7 스트레이트 플러쉬가 되고 상대방이 5, 6, 7, 8, 9로 모두 하트일 경우 9 스트레이트 플러쉬가 된다. 이 경우 7보다 9가 더 높은 서열의 카드 숫자이기 때문에 9 스트레이트 플러쉬가 승리하게 된다. 스트레이트 플러쉬의 등장 확률은 0.0015%이다.

 

 

10. 로얄 스트레이트 플러쉬(Royal Straight Flush)

로얄 스트레이트 플러쉬는 내가 사용하는 카드 5장이 A, K, Q, J, 10이고 모두 같은 문양일 경우 발생한다. 포커에서 가장 높은 족보이다. 사실상 무적의 족보로 절대 질 수 없고 최소한 비기게 된다. 만약 로열 스트레이트 플러쉬 끼리 비교하게 되면 가장 높은 서열의 카드가 둘 모두 A카드이므로 비교가 의미 없이 비기게 되는 것이다. 로열 스트레이트 플러쉬의 등장 확률은 0.00015%이다.

 

키커(Kicker)의 개념

만약 내가 가진 원페어와 상대방이 가진 원페어가 동일한 숫자라면 어떻게 될까. 이때는 킥커(Kicker)라는 개념을 사용하게 된다. 킥커는 영어 단어의 의미대로 하나씩 쳐낸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9 원페어와 9 원페어가 승부를 낼 때 9 원페어끼리는 동일한 서열로 승부를 낼 수 없다 때문에 페어의 조합에 들지 않은 3장의 카드 숫자 서열로 승부를 가리게 된다. 이것이 어떤 말이냐면 만약 내가 9 원페어에 A, 7, 5 카드를 가지고 있고 상대방이 9 원페어에 J, 8, 5 카드를 가지고 있다면 원페어끼리는 같은 서열이니 다음으로 높은 숫자인 A와 J으로 승부를 내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만약 원페어에서 나머지 3장의 카드를 모두 비교한 뒤 모든 카드의 서열이 같다면 무승부가 된다. 이 킥커는 사실상 모든 족보에서 사용되는 개념이라고 이야기할 수 있다. 

반응형